카테고리 없음 / / 2022. 10. 19. 17:19

음식물 쓰레기 냉동실에 보관해도 괜찮을까? 음식물 쓰레기 보관 방법

반응형

안녕하세요.

혼자 자취하시는 분들 골치거리 바로 음식물 쓰레기!!!!!!

아무리 작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사도 한번 사용하고 버리기에는 너무 아깝고,

꽉 채워서 버리자니 악취와 벌레 꼬임 걱정이에요;;

다들 경험있으시죠?? 없으시다면 프로 자취러가 아니시군요!

다들 저런 경험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실에 보관하시는 분들 

분명 있으실거에요.

물론 저도 경험이 있는 사람 중 한명이거든요!

 

 

오늘은 음식물 쓰레기 과연 냉동실에 보관해도 괜찮은지 한번 알아볼게요.

사실 저도 궁금하거든요!

 

냉동실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 이유?


 

 

 

 

일단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실에 보관하는 이유는 뭘까요?

바로 부패 속도를 늦추고자 또는 악취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냉동실에 보관하게 되면 꽝꽝 얼기 때문에 부패 하는 속도도 늦추고 악취 또한 나지 않죠.

 

 

 

냉동실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해도 될까?


 

 

음식물 쓰레기에는 수분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식중독 균이 살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중독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이 많이 있다고 해요.

그럼 봉투를 꽉 묶어놓으면 괜찮은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봉투에 넣을 때 봉투 겉에 뭍은 세균이 냉동실 전체로 퍼질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냉동실에는 우리가 실제로 섭취하는 식재료 들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곧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어요.

 

 

식중독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및 많은 바이러스 들은 영하 20도에서도 죽지 않는다고 해요.


" 음식물 쓰레기는 그때 끄때 버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이건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내용이잖아요.

 

 

그럼 냉동실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는데 조금이라도 괜찮은 방법은 없는걸까요??

 

아무리 이제 여름이 지났다고는 하지만 세균은 언제 어디에서나 우리 몸에 침투 할 지 아무도 모르잖아요?

제가 예전에 겨울에도 불구하고 노로바이러스에 한번 걸려봤는데 진짜 죽다가 살아났어요.

열도 39도까지 오르고 구토에 복통까지... 진짜 최악이였는데 진짜 다시는 걸리고 싶지 않더라구요.

 

 

 

 

음식물 쓰레기 조금이라도 안전하게 냉동실에 보관하는 방법


 

 

음식물 쓰레기는 그때 그때 바로 버리는 것이 좋지만 

그래도 바로 버릴 수가 없다면 아래의 방법대로 보관해보세요!

 

 

 

 

*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봉투 겉면에 새로운 봉투를 감싸 주세요.

 

앞에서도 말했듯이 음식물 쓰레기를 봉투에 담을 때 겉면에 여러가지 세균이 뭍을 수 있다고 했는데,

이때 리스테리아균은 육류, 유제품, 채소 등에서 주로 발견이 되어  발열 / 설사 / 뇌수막염 / 패혈증으 일으킬 수 있어요.

노로바이러스는 익히지 않은 어패류(굴), 채소류 등에서 주로 발견이 되고

독감 유사 증상 / 오한 / 구토 / 설사 를 일으킬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봉투 겉면을 새로운 봉투로 감싸 꽉 밀봉해주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 분무기에 식초를 담아 음식물 쓰레기 봉투 곳곳에 뿌려주세요.

식초에는 초산 / 젖산 / 구연산 등이 함유 되어 있어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기능을 한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 주변으로 식초를 뿌려주게 되면 다른 음식물등에 세균이 침투 할 수 있는

확률을 낮춰주게 됩니다.

 

 

자 오늘은 음식물 쓰레기 냉동실에 보관해도 되는지 한번 알아봤는데요.

그래도 뭐니뭐니 해도 바로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게 우리 몸과 건강에 도움이 될 거 같네요.

다음에도 유용한 자취 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